본문 바로가기
부동산 시세 트래킹

2025년 1월 서울 대장 아파트 완벽 분석 🏢 (시세/전망/투자포인트 총정리)

by !!!랜드로드!!! 2025. 1. 10.
반응형

래미안 원베일리
이미지=나무위키

2025년 1월 서울 대장 아파트 시장의 현재 상황과 향후 전망을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 특히 강남권과 주요 대장주들의 최신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서울 대장 아파트 현황 분석 📊

KB선도아파트 50지수 기준, 2024년 12월 서울 대장 아파트 가격은 전월 대비 0.85% 상승했습니다. 다만 2주 연속 보합세를 보이며 상승세가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

지역 단지명 매매시세 전세시세 전세가율
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 49억 20억 41%
강남구 래미안대치팰리스 39.9억 20억 50%
송파구 잠실엘스 25.9억 11억 42%

 

권역별 시세 동향 💰

강남권 현황

  • 서초구는 0.03% 상승하며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상승세 지속
  • 송파구도 0.03% 상승했으나, 상승폭은 전주 대비 축소
  • 강남구는 보합세로 전환되며 41주 만에 상승세 멈춤

기타 주요지역

  • 용산구와 성동구는 각각 0.04% 상승하며 강세
  • 마포구는 신축 단지 위주로 거래되며 안정적 흐름 유지
  • 여의도 등 영등포구는 0.02% 상승

 

2025년 시장 전망 🔮

단기 전망

  • 대출규제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반기 관망세 예상
  • 매수심리는 12주 연속 하락하며 97.0을 기록
  • 전문가 90%가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전망

중장기 전망

  • 2025년 서울 입주물량이 2만6천가구로 공급부족 심화 예상
  •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하반기 시장 회복 가능성
  • 강남권과 신축 아파트 위주로 양극화 심화 전망

투자 포인트 및 유의사항 💡

투자 유망지역

  • 재건축 추진단지가 있는 서초, 송파 지역
  • 신축 아파트가 많은 성동, 용산 지역
  • 교통 인프라가 우수한 여의도, 마포 지역

리스크 요인

  •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거래량 감소
  •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시장 변동성
  • 전세가율 상승에 따른 매매가격 하락 압력

현 시점에서는 서울 대장 아파트 시장이 조정기에 진입했으나, 공급 부족과 선호도 높은 지역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특히 교육 여건과 교통 인프라가 우수한 지역의 대장 아파트들은 상대적으로 가격 방어가 잘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
반응형